티스토리 뷰

반응형

포스팅과 관련 없는 자료 사진. [출처=tvN '김 비서가 왜 그럴까']

결혼 시즌, 축의금 액수 때문에 한 번쯤 고민한 적이 있을 것입니다.

 

그렇다 보니 SNS에는 축의금 기준을 나누는 게시글이 올라오기도 합니다.

 

예로 들어 이렇게 말입니다.

 

1. 허심탄회하게 속내를 털어놓을 수 있는 친구는 20만 원 이상

 

2. 결혼하는 사람의 부모님이 내 이름을 알 경우 15만원 이상

 

3. 주기적으로 만나는 친한 친구 10만원 이상

 

4. 어느 정도 친분이 있는 직장동료 사이 5만 원

 

그런데 이 축의금 액수를 놓고 한 네티즌이 친구에게 은근히 서운했다고 하네요.

 

어떤 사연일까요?

 

다음은 사연 전문입니다.

728x90

포스팅과 관련 없는 자료 사진. [출처=웹드라마 '일진에게 찍혔을 때']

축의금 때문에 서운한 일이 생겼어요.

 

고등학교 친구인데 자주 보지는 않더라도 그래도 나름 친하다고 생각한 친구였습니다.

 

학창 시절에는 단짝 친구라 생각할 정도로 가깝기도 했고요.

 

대학교에 들어간 이후 제가 남자 친구가 생기면서 그 친구와 연락이 뜸해지기는 했지만 그래도 제 마음속에는 친한 친구로 자리 잡고 있었어요.

 

그리고 제가 결혼하게 되면서 연락을 했는데 이번에 지방까지 내려와 결혼식에 와줬더라고요. 축의금도 냈고요.

 

그런데 문제는 축의금 액수에요.

반응형

이 친구가 축의금을 5만 원만 했는데 보통 5만 원은 어느 정도 친분 있는 사이거나 직장동료에게 내는 정도 수준 아닌가요?

 

저는 진짜 친했던 사이로 생각해서 못해도 20만 원 이상을 할 줄 알았는데 조금 실망스러웠어요.

 

물론 액수가 중요한 건 아니란 걸 알아요. 그런데 그 친구와 제 사이가 이 정도밖에 안 됐었나 하는 생각이 들긴 하더라고요.

 

이런 고민하는 제가 이상한 걸까요?

 

이 사연을 한 네티즌은 "액수보단 그 정도 관계였다는 사실에 서운했을 수는 있을 거 같다"라고 말했습니다. 반면 다른 네티즌은 "지방까지 내려와서 결혼식 참석해준 것만 해도 감지덕지 아니냐. 교통비도 안 줬을 텐데 염치없는 고민이다"고 했습니다.

 

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?

 

아이돌 갤러리 에디터

728x90
반응형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TAG
more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